2023.03.29 (수)

학생칼럼

[연합기획기사] 교실 속 미디어 지배,어디까지 왔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미디어 폐허를 해결할 수 있다

 미디어 홍수의 시대이다.

 인터넷 매체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SNS)나 유튜브는 언론사 구독자보다 훨씬 더 많은 지지층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인터넷 매체는 강한 파급력을 가진다.

 그런데 사회적 책임 없이 언론과 표현의 자유라는 미명하에 무분별하게 생산되고 유포되는 가짜뉴스의 확산은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또 더욱 자극적이고 비인권적인 저작물들이 마구 쏟아 지고 있다. 이는 중/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학생들은 이미 무분별한 미디어 홍수 속에서 옳고 그름조차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 채 의식과 행동을 지배당하고 있다. 또한 필터없는가짜뉴스나 선정적인 방송을 계속 접하면서 일상적 학생문화까지 저속하게 물들이며 지배하고 있는 양상이다.

 그렇기에 수많은 정보속에서 좋은 컨텐츠를 찾아서 즐길 수 있는 깨어 있는 시민을 기르는 교육이 절실하다. 


이러한 상황을 현명하게 극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미디어 리터러시 ' 교육이다.
 이는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이용하며 혁신적이고 창의적으로 구성 및 제작 할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수많은 정보속에서 좋은 컨텐츠를 찾아서 즐길 수 있는 깨어 있는 시민을 기르는 교육이 절실하다. 


어떻게 하며 비판적 사고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가진 시민으로 자랄 수 있을까?
첫째, 검증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거짓 정보는 여러 사람에 의해 검증 과정을 거치다 보면 결국 본색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 분명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것에 근거해서 반박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교안에서 교육이 필요하다. 학교는 부적절한 미디어 신고하기와 같은 수업을 해볼 수 있다.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SNS나 유튜브컨텐츠나 인테넷 기사를 직접 선정한다. 이렇게 다양한 미디어 속에서 발겨되는 가짜뉴스와 선정적인 정보등에 어떤 점이 문제이고 잘못 되었는지를 판별하고 매체에 따라 어떻게 신고해야하는지 실천해보는 수업이 필요하다. 


이렇듯 위와 같은 방법으로  미디어의 범람 속에 학교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디어를  접하고 나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  조사를 해봤다.

 

 

 조사 결과 대부분 뉴미디어를 많이 이용하고 미디어를 할 때 어떤 것이 잘못되고 옳은지 대체로 분별하지만  미디어를 통해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은 것을  볼 수 있다. 

 많은 학생의 아니지만 대부분 학생들이 미디어의 효과를 보지 못한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낀다. 따라서 IT시대인 만큼 기술을 접목한 교육 방향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디어리터러시는 미디어를 수용하고 해석하는 능력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미디어에 참여하고 미디어를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인공지능 시대에  자신의 생각과 판단  없이 검증되지 않은  정보는 우리의 올바른 가치관 확립에  나쁜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주목받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최근 휴대 전자 기기가 널리 보급되며 여러가지 부적절한 정보에 노출되기 쉬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정보를 분석해 받아들이는 능력을 키우는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학생들이 미디어 폐해로 인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한  박세라 보라매아이윌센터장님의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았다. 

Q) 요즘 청소년들이 부적절한 콘텐츠에 쉽게 노출이 되어있어 문제가 되는데 그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A)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도 많아졌고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수업을 하다보니 전자기기를 보는 시간이 많아져 부적절한 콘텐츠에 노출이 되기 쉬워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Q)그럼 위에 말씀하셨던 문제가 되는 이유들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노력해야 할까요?? 
A) 음..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서 청소년층을 부적절한 콘텐츠들로부터 보호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Q)그렇게 하면 어떤것이 개선 될 수 있을까요?? 
A) 청소년들이 부적절한 콘텐츠를 접할 기회가 적어지도록 하고 청소년대상으로 유해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회사를 단속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Q)청소년들이나 어린이들에게 득이 되는 콘텐츠로는 뭐가 있을까요?? 
A) 아마도 교육적인 콘텐츠, 지식 콘텐츠 등등 다양하게 있겠죠. 

 

Q)마지막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즐겨보는 학생들에게 해 주실 조언이나 팁이 있을까요?? 
A) 다양한 콘텐츠들을 시청하다가 부적절한 콘텐츠를 보았을때 그것이 그른 줄 판단할 수 있는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러한 콘텐츠들을 신고하는것도 잊지 말아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는 미디어를 수용하고 해석하는 능력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미디어에 참여하고 미디어를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반복적이고 기계가 해주는 것들이 많아지고, 인공지능 시대로 변하고 있는 현재, 이러한 것들을 생각없이 받아들이게 되면 발전이 없고 인간들의 정신 건강이 안좋아지게 되며 기술 발전이 멈추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주목받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최근 휴대 전자 기기가 널리 보급되며 여러가지 부적절한 정보에 노출되기 쉬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정보를 가려 받아들이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요구되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다. 

 

 


포토이슈